본문 바로가기

천자문(千字文)

천자문千字文 - (093) 구고심론求古尋論 산려소요散慮逍遙

▶ 훈음訓音

求 구할 구 / 古 예 고 / 尋 찾을 심 / 論 논할 론
散 흩을 산 / 慮 생각할 려 / 逍 노닐 소 / 遙 멀 요


▶ 풀이

옛것(古)을 구하여(求) 의론(論)을 찾으며(尋)
근심(慮)을 흩어버리고(散) 노닐며(逍) 돌아다닌다(遙).


▶ 자원字源

求 : 동물 가죽으로 만든 털옷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털옷은 구하기 어려워 탐했다는 데서 '구하다'를 뜻한다.
古 : 열 십十과 입 구口가 결합했다. 10대 동안 구전된 이야기라는 데서 '옛날'을 뜻한다. 참고로 칠 복攵(행동하다)을 더한 연고 고故는 '자신과 관련된 옛날'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尋 : 왼 좌左, 오른 우右, 마디 촌寸이 결합했다. 양손으로 무언가를 찾는다는 데서 '찾다'를 뜻한다.
論 : 말씀 언言과 생각할 륜侖(죽간을 말아놓은 모습)이 결합했다. 어떠한 사안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눈다는 데서 '논하다'를 뜻한다.
散 : 흩어질 산㪔(삼을 때려 잎을 제거하는 모습)과 달 월月이 결합했다. 삼을 때려 잎을 제거하고 줄기만 남긴다는 데서 '흩어지다'를 뜻한다.
慮 : 범 호虎와 생각할 사思가 결합했다. 범을 맞닥뜨릴까 걱정한다는 데서 '생각하다', '근심하다' 등을 뜻한다.
逍 : 쉬엄쉬엄갈 착辶과 닮을 초肖(작은 몸 → 작다, 초→소)가 결합했다. 작은 보폭으로 걷는다는 데서 '노닐다'를 뜻한다.
遙 : 쉬엄쉬엄갈 착辶과 질그릇 요䍃(노래 요䚻의 생략형와 질그릇 부缶의 합자)가 결합했다. 진나라 사람들은 질그릇을 두드리고 노래하며 멀리 떠나는 사람을 송별했다는 데서 '멀다'를 뜻한다.


▶ 참고參考

한가롭게 거처할지라도 옛것에 대한 본말本末을 찾고 토론하니, 비록 자리에서 물러나더라도 내가 속한 공동체를 교화한다. 또한 세상 일로 마음을 어지럽히지 않고 소요逍遙하여 유유자적悠悠自適한다.

나이가 들수록 오히려 사회에 관심을 갖게 되는 것은 점점 사회의 중심에서 밀려나는 아쉬움으로 인한 것이다. 하지만 어떤 일이든지 때가 있는 법이다. 젊었을 땐 사회의 중심으로 들어가 자신에게 주어진 일에 충실하고, 나이가 들어 사회의 주변으로 물러나면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그 공동체의 교사 역할을 하면 된다. 물론 그러기 위해선 평소 개인윤리와 사회윤리를 일치시키기 위한 학습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