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천자문(千字文)

천자문千字文 - (028) 공곡전성空谷傳聲 허당습청虛堂習聽

▶ 훈음訓音

空 빌 공 / 谷 골 곡 / 傳 전할 전 / 聲 소리 성
虛 빌 허 / 堂 집 당 / 習 익힐 습 / 聽 들을 청


▶ 풀이

빈(空) 골짜기(谷)에서 소리(聲)가 전해지고(傳)
빈(虛) 집(堂)에서 익히(習) 들린다(聽).


▶ 자원字源

空 : 구멍 혈穴, 장인 공工(흙을 다지는 도구인 달구)이 결합했다. 흙을 다져 구멍을 만들었다는 데서 ‘비다’를 뜻한다.
谷 : 여덟 팔八(위에서 물이 흘러내리는 모습), 입 구口(물이 흘러나가는 출구)가 결합했다. 물이 흐르는 계곡을 표현한 데서 ‘골짜기’를 뜻한다.
傳 : 사람 인人과 오로지 전專(방추紡錘에 감긴 실을 돌리는 모습)이 결합했다. 사람을 통해 두루마리를 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데서 ‘전하다’를 뜻한다.
聲 : 소리 성声(고대 악기 석경石磬), 몽둥이 수殳, 귀 이耳가 결합했다. 석경을 치는 소리를 듣는 모습을 나타낸 데서 ‘소리’를 뜻한다.
虛 : 범 호虎, 언덕 구丘가 결합했다. 언덕에 호랑이가 나타나 모두 사라졌다는 데서 ‘비다’를 뜻한다.
堂 : 흙 토土, 오히려 상尙(집 위로 무언가가 올라가는 모습)이 결합했다. 본래의 의미는 집을 짓기 위한 사각형의 토대이다. 이후 ‘집’이라는 뜻으로 쓰이게 됐다.
習 : 깃 우羽, 흰 백白(새끼 새)이 결합했다. 새끼 새가 하늘을 날 수 있도록 연습한다는 데서 '익히다'를 뜻한다.
聽 : 귀 이耳, 천간 임壬, 곧을 직直, 마음 심心이 결합했다. 곧게 보고(直) 듣고(耳) 느끼는(心) 사람(壬)이라는 데서 '듣다'를 뜻한다.


▶ 참고參考

공곡전성空谷傳聲은 탁 트인 장소에서의 떳떳한 언행은 인적이 드물어도 널리 퍼진다는 의미이다. 반면 허당습청虛堂習聽은 사방이 막힌 장소에서의 떳떳치 못한 언행은 보이지 않아도 익히 들을 수 있다는 뜻이다. 개인적으로 전자보다 후자에 방점이 찍혀있다고 본다. 떳떳한 언행을 많이 하는 것보다 떳떳치 못한 언행을 조심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네거티비즘(Negativism)이 우리의 전통적인 사고방식이기 때문이다.

청각적 표현으로 공곡전성허당습청空谷傳聲虛堂習聽이 있다면 후각적 표현으로는 류방백세유취만년流芳百世遺臭萬年을 들 수 있다. 백百과 만萬은 단순히 많다는 의미로 쓰이기도 하지만 네거티비즘으로 해석한다면 여기서는 숫자 그대로 사용됐다고 봐도 무방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