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토음독懸吐音讀
준예밀물俊乂密勿하여 다사식녕多士寔寧이라
▶ 훈음訓音
俊 준걸 준 / 乂 벨 예 / 密 빽빽할 밀/ 勿 말 물
多 많을 다 / 士 선비 사 / 寔 이 식 / 寧 편안할 녕
▶ 풀이
준걸(俊)이 다스림(乂)에 빈틈없고(密) 부지런하여(勿)
많은(多) 선비(士)들이 이(寔)에 편안해졌다(寧).
▶ 자원字源
俊 : 사람 인亻과 천천히걷는모양 준夋(기품 있게 걷는 모습)이 결합했다. 사람의 걸음걸이에 기품이 있다는 데서 ‘준걸’을 뜻한다.
乂 : 풀을 좌우로 쳐내는 모습을 나타낸 데서 ‘베다’를 뜻한다.
密 : 잠잠할 밀宓과 메 산山이 결합했다. 나무가 무성하여 잠잠한 산이라는 데서 ‘빽빽하다’를 뜻한다.
勿 : 깃발의 모습을 나타내어 특정 지역의 출입을 경계한다는 데서 ‘말다’를 뜻한다. 한편 쟁기질을 할 때 흙이 튀는 모습을 나타낸 데서 ‘부지런하다’를 뜻하기도 한다. 위 구절에서는 후자의 뜻으로 쓰였다.
多 : 고기 육肉을 겹쳐 쓴 것이다. 고기가 쌓여있는 모습을 나타낸 데서 ‘많다’를 뜻한다.
士 : 허리춤에 차고 다니던 무기를 나타낸 데서 본래 ‘무관’을 뜻했다. 이후 ‘관리’, ‘선비’ 등으로 뜻이 확대됐다.
寔 : 집 면宀(처한 입장)과 이 시是(시→식)가 결합했다. 是를 강조한 데서 ‘이’를 뜻한다.
寧 : 집 면宀, 마음 심心, 그릇 명皿, 장정 정丁(탁자)이 결합했다. 탁자 위에 그릇이 놓여 있는 집에서 마음이 안정적이라는 데서 ‘편안하다’를 뜻한다.
▶ 참고參考
려상呂尙(강태공姜太公)은 시대를 도왔고, 이윤伊尹은 아형阿衡 관직을 맡았고, 주공周公 단旦은 주周나라 성왕成王을 도와 로魯나라에 봉해졌고, 제齊나라 환공桓公은 주周나라 양왕襄王의 왕위를 지켰고, 상산사호商山四皓는 태자 유영의 폐출을 막았다. 이들은 모두 인민 중의 준걸俊傑이며 영웅으로서 힘써 도와 다스렸으니 이에 나라가 안정됐다.
'천자문(千字文)'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자문千字文 - (073) 가도멸괵假途滅虢 천토회맹踐土會盟 (0) | 2021.05.16 |
---|---|
천자문千字文 - (072) 진초경패晉楚更覇 조위곤횡趙魏困橫 (0) | 2021.05.15 |
천자문千字文 - (070) 기회한혜綺回漢惠 열감무정說感武丁 (0) | 2021.05.11 |
천자문千字文 - (069) 환공광합桓公匡合 제약부경濟弱扶傾 (0) | 2021.05.10 |
천자문千字文 - (068) 엄택곡부奄宅曲阜 미단숙영微旦孰營 (0) | 2021.05.09 |